"2025년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지원사업" 공고
- 첨부파일 2025년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공모.hwp (149.50 KB) 미리보기 다운로드
- 첨부파일 붙임파일_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hwp (50.00 KB) 미리보기 다운로드
한국학호남진흥원 공고 2025-22호
「2025년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지원」사업 공고
한국학호남진흥원은 호남한국학 인문강좌 및 학술대회를 지원하는 「2025년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지원사업」 참여단체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5. 4. 3.
한국학호남진흥원장
□ 개요
○ 사 업 명 :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지원사업
○ 사업기간 : 2025년 5월 ~ 2025년 11월
○ 사업내용 :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지원으로 호남한국학 활성화 및 위상 제고
○ 선정/지원규모 : 14개 단체 / 84백만원
※ 강좌 7개 단체 각 7백만원, 학술대회 7개 단체 각 5백만원
○ 지원형태 : 실비 지원
□ 사업추진 절차
1단계 |
|
2단계 |
|
3단계 |
|
4단계 |
|
5단계 |
사업 공고 및 접수 |
▶ |
서면 심사 및 선정 결과 발표 |
▶ |
사업 수행 |
▶ |
사업비 지원 |
▶ |
성과 보고 및 정산 (완료 후 1개월 이내) |
□ 공모 유형
구 분 |
공모 내용 |
공모 주제 |
학술대회 주제 - 호남의 누정 원림 및 향약 동계 등 공동체 문화 - 호남의 인물, 호남의 정신, 호남의 문화 강좌 주제 - 호남한국학 유·무형 역사 문화 자원 |
신청 자격 |
광주·전남·전북 소재 대학(교), 연구기관 및 단체 ※ 상기 지역 외 대학 및 연구단체로서 공모 주제 부합 시 신청 자격 인정 |
선정 규모 |
강 좌 : 7개 단체 학술대회 : 7개 단체 |
지원 규모 |
84백만원 *단체별 강좌 7백만원, 학술대회 5백만원 이내(실비 지원) |
활동 기간 |
2025년 5월 ~ 11월 |
활동 내용 |
호남한국학 강좌 개최(8회 이상) 호남한국학 학술대회 개최(1회) 사진, 영수증 등 증빙서류 제출 실적보고서 및 정산보고서 제출(사업종료 후 1개월 이내) |
접수 방법 및 접수처 |
직접 방문 또는 우편 접수 (우: 62383)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 152번길 53-27 한국학호남진흥원(4층) 기획연구부 온라인 접수 suyakjai@hiks.or.kr(☏062-603-9622, 엄찬영) |
신청 제외 대상 |
공모사업 참여가 목적이 아닌 학교·종교단체·친교단체·특정 정파나 정치적 입장에 편향된 사업 단체 신규 설립에 필요한 경비 지원사업 전문성과 사료적 근거가 없고 이해당사자 간(저작권)의 분쟁 소지가 있는 사업 공모사업 선정 발표에 따른 참여와 수혜 대상이 특정 종교인과 혈연 숭모 사업 최근 3년(2022~2024) 국공립 및 보조금 지원사업 부정 집행 및 정산 ※ 공통사항 문화체육관광부, 광주광역시, 한국학호남진흥원, 광주시립도서관, (재)광주문화재단, 전라남도, 전남도립도서관, (재)전라남도문화관광재단에서 운영하는 동일 지원사업과 중복 지원 불가 |
※ 제출한 성과물은 한국학호남진흥원의 역사문화콘텐츠 자원으로 활용
□ 공모 및 접수 기간
○ 공모 및 접수 기간 : 2025년 4월 4일(금) 9:00 ~ 4월 18일(금) 18:00(예정)
○ 서류심사 개최(사업계획 평가) : 추후 공지
○ 선정 결과 발표 : 추후 공지
□ 공모 신청 자격
○ 광주·전남·전북 소재 대학(교), 연구기관 및 단체(민간·법인단체)
※ 상기 지역 외 대학 및 연구 단체로 공모 주제 부합 시 신청 자격 인정
□ 공모 내용
○ 호남한국학 관련 강좌 7개 단체 / 학술대회 7개 단체 선정 실비 지원
※ 단체별 강좌 및 학술대회 중 하나만 지원할 수 있음
□ 접수 방법 및 접수처
○ 직접 방문 또는 우편 접수
(접 수 처)
(우: 62383)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 152번길 53-27
한국학호남진흥원(3층) 기획연구부
○ 온라인 접수
(메일 보내실 곳) suyakjai@hiks.or.kr
※ 온라인 접수 시에는 반드시 전화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062-603-9622, 엄찬영)
- 서류봉투 앞면에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지원사업」을 기재 - 제출 서류를 동봉하여 근무 시간 내 방문 제출(근무시간 09:00~18:00)
- 서류봉투 앞면에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지원사업」을 기재 - 우편 접수는 소인이 접수 마감일 전날까지 찍힌 것까지 유효
- 메일 제목 및 첨부 파일명은 다음과 같이 접수해야 함 : 「호남한국학 강좌 및 학술대회 지원사업」 - 단체 또는 개인명 - 제출 서류를 한 개의 ‘HWP파일’이나 ‘PDF파일’로 연결 - 사진 파일은 별도 압축파일(zip) 형태로 제출 - 접수 마감일 18:00까지 접수된 서류만 인정 |
□ 제출 서류
○ 사업신청서 [붙임 1]
○ 사업계획서 [붙임 2]
○ 단체소개서 및 사업추진 실적, 증빙(최근 2년 이내) [붙임 3]
○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붙임 4]
○ 사업자등록증 또는 고유번호증
□ 평가 및 대상자 선정
○‘자격 요건’과 ‘사업계획서’를 평가함
○ 사업계획서에 기술한 내용만을 대상으로 평가하며, 제출 서류 미비 등에 따른 불이익에 대해 일체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음
○ 최종 선정 결정 시 적격 개인이나 단체가 없는 경우, 공모 계획보다 적게 선정하거나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
※ 기타 사항은 심사위원회에서 결정
□ 심사기준
평가 지표 |
평가 요소 |
사업 이해도 (15점) |
- 사업 취지 및 사업 목적의 반영도 - 인문학적 가치와 효용성
|
기획 우수성 (30점) |
- 계획 충실도 및 참신성
|
예산 적정성 (15점) |
- 예산 목 구성의 적합성
|
단체 수행 역량 (20점) |
- 관련 사업 다수 경험 등 전문성
|
사업 효과 및 활용도 (20점) |
- 향후 지속 확대 발전 가능성
|
□ 공통 유의사항
○ 사업계획서에 이름(단체, 개인)을 기입하지 말 것
○ 타인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한 계획이 아니어야 하며, 논거 출처․참고문헌 등을 반드시 밝혀야 함
○ 제출된 서류의 위조·변조나 신청내용에 허위 사실이 발견된 경우, 사업 대상자로 선정된 이후라도 취소할 수 있음
○ 사업신청서는 접수 기간 내 제출된 건에 한하며, 접수 기간 이후에는 신청할 수 없음
○ 제출된 서류를 기준으로 평가하며, 제출 서류 미비 등에 따른 불이익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음
○ 프로그램 운영 중 모든 사고 및 민원에 대해 개인․단체에서 책임을 짐
이전글 | 공지사항 | 2025년도 제38회 광주광역시 시민대상 수상후보자 공모 | 2025-03-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