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서와 옛편지] 보성 양반 임장원의 문중과 채수기
재단법인 한국학호남진흥원
고문서와 옛편지
|
||||||||
수기(手記)란 수표(手票), 명문(明文), 다짐[侤音] 등의 성격을 가지는 사적 문서이다. 흔히 토지나 노비를 사고팔 때 매도인은 매매 대상물과 거래 가격 등을 명시하고 매도인에게 문서를 작성하여 준다. 그것을 ‘증명하는 문서’라는 의미에서 ‘명문(明文)’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사적인 거래의 대상은 토지와 노비 이외에도 가사(家舍), 가축(家畜), 선척(船隻), 염분(鹽盆), 집기(什器) 등 매우 다양하다. 명문은 원래 문서의 공증력을 위하여 관의 입안(立案)을 받아야 하였지만, 노비 매매 이외에는 거의 관의 입안이 없다. 관의 입안에는 수령이 비스듬히 적은 관의 사인인 빗기=사지(斜只)가 있어 관사(官斜) 문기라고 하며, 관의 입안이 없는 백문(白文) 문기에는 증인과 문서를 작성하는 필집(筆執)이 매도자와 함께 문서 끝에 수결(手決)을 함으로써 문서의 효력, 공공성을 보증하였다. 그러나 소송이나 분쟁이 생겼을 때는 관사문기가 백문문기보다 증거력이 컸음은 물론이다. 이렇듯 모든 거래에는 명문을 작성하지만, 개인 간의 사적인 채무나 금전 관계의 내용을 보증할 필요가 있을 때는 흔히 수기나 수표를 쓴다. 수기나 수표도 넓은 의미에서는 명문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보성 양반 임장원의 ‘문중과채수기(門中科債手記)’는 과거에 합격하고 그때 소요된 비용을 빌려 쓴 빚을 갚겠다는 독특한 내용의 수기다. 임장원이 아들에게 보낸 삼십여 점의 간찰과 함께 보관되어 있다. 10여 년 전 임장원의 초상화와 집안에 보관된 고신(告身) 즉 직첩 등의 자료를 그 후손이 국립광주박물관에 기증하여 전시회가 열린 바가 있다. 임장원(任長源, 1734∼1804)은 자(字)가 회일(會一), 호(號)가 규암(葵菴)으로 본관은 장흥(長興)이고 보성에 거주하였다. 1773년(영조 49) 마흔 살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생원, 진사가 되는 소과도 아니고 문과에 오르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소과는 성균관에 입학하고 문음으로 관직에 나아갈 수 있는 자격을 주는 시험이지만 문과는 대과라고 하여 합격과 동시에 관직에 임용될 수 있는 임용시험이었다. 보통 향촌의 선비들에게 생원 진사도 대단한 영광일진대 하물며 문과는 말할 것도 없다. 이 문서의 겉봉에 ‘문중 수기(門中手記)’라고 되어있어 문중에 보내는 수기임을 알 수 있다. 전문을 탈초,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 수기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말(門末, 문중의 말석이라는 뜻의 겸사)이 등과하였을 때 문답(門畓) 세 마지기를 빚을 내려고 빌렸다가 팔았는데, 지금까지 갚지 못하여 여러 의논이 어지럽게 일어났습니다. 올해까지는 유사(有司)가 어떻게든 감당하였습니다만, 앞으로의 걱정은 장치 제향(祭享)을 거르게 될 지경이 되었습니다. 문말의 부끄러움은 다시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앞으로 갚는 것을 깔끔히 할 것인데, 내년은 문중에서 후의를 베풀어 다른 곳에 부표(付標)하지만, 내후년에도 또 갚지 못하면 문말은 마땅히 유사로서 올해처럼 준비해 올 것이며, 저의 논으로 원래의 액수대로 문중에 대납하기로 하고 이같이 수기합니다. 갑인년(1794, 정조18) 10월 13일 압각시향(鴨閣時享) 때 문말 장원 수서(수결) 右手記事段 門末登科時 門畓三斗/ 以起債事 貸而賣之 而至今未報 以致/諸議之紛紜 至於今年 有司之搖當是/在果 來頭之憂 將至闕享之境是去乎/ 門末之慚愧 更言可言 而來頭準報 有如/靑山 明年段 門中以厚誼 以他員付標/是遣 至於再明年 而又不準報 則門末當以/有司 如今年備進 而以自己畓 準數代納於/門中事 如是手記爲臥乎事 * 밑줄은 이두, / 는 줄바꿈 표시. 한 칸을 떼어 구두를 대신하였다.
임장원이 문과에 급제할 때 문중의 논 세 마지기를 빌려서 팔았는데, 지금까지 갚지 못해서 문중의 논란이 분분하여 내후년까지 반드시 갚겠다고 다짐하는 내용이다. 1773년(영조 49)에 급제하고 1794년(정조 18)에 수기를 작성하였으니 20년 넘게 채무를 갚지 못하여 문중의 시향(時享) 제사를 제대로 지낼 수 없게 되었으니 말할 수 없는 당혹감이 여실하다. 이 수기가 임장원이 아들들에게 보낸 다른 편지들과 함께 집안에 남아 있게 된 것은 아마 채무를 갚고 수기를 찾아왔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임장원이 문중 빚은 다 갚았으리라고 추정된다. 문중의 논을 세 마지기나 팔아서 무엇에 썼던 것일까? 조선시대 양반의 가장 큰 일의 하나는 과거 응시였다. 양반의 일상은 과거를 준비하고 과장에 출입하는 것이었고, 그 자체로 양반임을 증명할 수 있는 상징적 의식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평생 과장에만 출입하고 실제로 소과나 무과조차도 합격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하물며 대과 급제는 말할 나위도 없는 본인만 아니라 문중의 경사였다. 그런데 과거에 합격한 사람은 삼일유가(三日遊街)를 하고 잔치를 해야 했기 때문에 많은 재물이 소요되었다. 그래서 재산이 있는 내로라 하는 양반가에서는 소과나 문과에 합격하면 특별히 토지나 노비 등을 별급(別給) 해주었다. 추측건대 임장원이 문중의 논 세 마지기를 빌려서 빚을 지게 된 것은 임장원의 문과 합격을 축하하기 위하여 문중의 결의로 지급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임장원은 관료 생활을 하며 문중에 재정을 지원하기는커녕 빚조차 갚지 못하였다. 임장원의 벼슬살이는 그다지 평탄하거나 영광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임장원의 문집인 『규암집(葵菴集)』에 수록된 행장을 중심으로 일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734년 보성군 옥평 외가에서 태어난 임장원은 마흔이 다되어서야 증광시에 합격하여 승문원 정자를 거쳐, 기주천(記注薦)으로 승정원 주서로 활동을 하다가 2년 후 효릉 별검이 되었다. 승정원의 주서직은 문과에 합격한 사람 중에서 특별히 능력이 있고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을 추천받아서 다시 시험을 거쳐서 임명하였다. 그러나 임금을 지근거리에서 모시는 영광스러운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힘든 직임이어서 모두 회피하는 자리였다. 1780년 승문원 저작 겸 태상시(太常寺) 직장이 되었고 다음 해에는 문신 제술에서 장원하여 박사(博士)로 승진하여 『영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임장원은 1781년 11월에는 모친상을 당하고 5년 후인 1786년에 사헌부 지평에 임명되어 일곱 가지를 강조하는 ‘만언소(萬言疏)’를 올렸다. 이때 정조의 비답이 다음과 같았다. “여러 조항을 힘써야 하니 절실하지 않은 것이 없다. 사헌부에 새로 들어와서 이같이 건의하니 매우 가상하다.” 그리고 상소 중의 시폐(時弊)를 여러 고을에 써서 내려보내도록 특명하였다. 그해 9월 부친상으로 시묘하고 1790년(정조 14) 복직하여 사헌부 장령, 종부시 정(宗簿寺正)을 역임하였다. 다음 해 2월 윤대(輪對)에 들었는데, 정조가 기억하고 너무 백발이라 나이를 묻고는 “머리가 흴 될 때가 되었지만 너무 희다.” 하였다. 그때 58세였다. 이듬해 3월 성균관 직강(直講)에 임명되었는데 시종신(侍從臣) 중에서 지방 수령을 차출해 보내라는 왕명으로 충청도 비인 현감에 내려갔다가, 그해 말 다시 사헌부 장령에 임명되었다.
그림 임장원 초상(국립광주박물관 소장)
1794년(정조18) 정월 조참례(朝參禮)에서 홀서(笏書)도 없이 계언(啓言)하자, 정조가 만류하였음에도 왕권을 위협하는 여러 적을 처벌할 것을 주장하였는데 받아들여지지 않자 홀연히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왔다. 그해 8월 다시 사간원 헌납으로 출사하여 화성성역(華城城役) 문제, 사학(邪學)의 괴수를 처단하는 문제, 군덕(君德)을 힘쓰는 문제 등에 대해서 ‘만언소’를 올렸다. 그해 말에는 평안도 숙천 부사가 되어 중국 사신을 맞이하는 지칙(支勅), 농서(農書) 제진(製進) 등 변읍 수령으로서 임무를 제대로 처리하였지만, 정조가 붕어하자 정치적 반대파의 탄핵으로 1801년(순조 1) 의금부에 나포되어 고신을 빼앗기고 경상도 단성에 유배되었다. 1803년 유배에서 풀려 고향에 돌아와 1년 후에 별세하였다. 그의 행장에는 조카가 과거에 급제하자 장토(庄土)를 팔아서 축하연을 베풀어주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앞에 소개한 임장원의 수기에도 문중의 논을 팔아서 등과에 소용되는 비용을 썼고 20여 년이 지난 후에야 갚겠다는 다짐을 하는 데에서 당시 과거에 합격하고도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임장원의 수기는 당시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자료라 하겠다. 글쓴이 김현영(金炫榮) 한국고문서학회 명예회장 |
||||||||
Copyright(c)2018 재단법인 한국학호남진흥원. All Rights reserved. | ||||||||
· 우리 원 홈페이지에 ' 회원가입 ' 및 ' 메일링 서비스 신청하기 ' 메뉴를 통하여 신청한 분은 모두 호남학산책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호남학산책을 개인 블로그 등에 전재할 경우 반드시 ' 출처 '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