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 비친 문화유산] 충장사
![[하늘에 비친 문화유산] 충장사 첨부이미지 : 4 충장사.jpg](/attach/board/15/content/20190712144641Z8fOSTfFWjQcLFxU5nny.jpg)
![[하늘에 비친 문화유산] 충장사 첨부이미지 : 6 충장사.jpg](/attach/board/15/content/20190712144642UsL1ZbDjcVKyK4Cp1D0G.jpg)
![[하늘에 비친 문화유산] 충장사 첨부이미지 : 11 충장사.jpg](/attach/board/15/content/201907121446443xLMQ9mB50oEQ4N8XxGR.jpg)
![[하늘에 비친 문화유산] 충장사 첨부이미지 : 14 충장사.jpg](/attach/board/15/content/20190712144646NiVCF9C3xppndnnYU3pb.jpg)
충장사
1596년 가을 충청도 홍산에서 반란을 일으킨 이몽학의 구설에 올랐다는 이유로 무서운 형장 아래 산산이 부서지며 "춘산에 불이 나니 못다 핀 꽃 다 붙는다. 저 뫼 끌 물이나 있거니와, 이 몸에 내 없는 불 일어나니 끌 물 없어 하노라"라는 시조를 남기고 절명한 비운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 1567∼1596)을 모신 사우.
충장사
1596년 가을 충청도 홍산에서 반란을 일으킨 이몽학의 구설에 올랐다는 이유로 무서운 형장 아래 산산이 부서지며 "춘산에 불이 나니 못다 핀 꽃 다 붙는다. 저 뫼 끌 물이나 있거니와, 이 몸에 내 없는 불 일어나니 끌 물 없어 하노라"라는 시조를 남기고 절명한 비운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 1567∼1596)을 모신 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