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남일보]호남의 사상과 역사, 정체성 규명 나선다
‘호남학 콜로키움’ 첫 행사 28일 빛고을아트스페이스
광주문화재단과 한국학호남진흥원이 협력해 진행하는 ‘제1회 호남학 콜로키움’의
첫 행사가 28일 빛고을아트스페이스 5층 소공연장에서 열린다.
사진은 이날 발제자로 나서는 천득염 한국학호남진흥원 원장.
광주문화재단과 한국학호남진흥원이 협력해 진행하는 ‘제1회 호남학 콜로키움’의 첫 행사가 오는 28일 빛고을아트스페이스 5층 소공연장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한국학호남진흥원 등과 지역학 진흥을 위한 상호 협력 체계 구축 등을 내용으로 체결한 업무협약의 결실이다.
호남학 콜로키움은 호남의 사상과 역사, 호남문화의 정체성, 호남인의 자존을 규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간 한국학호남진흥원이 수행한 과업을 중심으로 호남학을 둘러싼 담론을 전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의 길을 모색한다는 취지다. 따라서 전문가들이 호남학 관련 주제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콜로키움은 ‘호남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천득염 한국학호남진흥원 원장이 발제자로 나선다.
천 원장은 광주 근현대 문화자원의 공유와 기증문화 확산을 위해 저술한 ‘광주건축 100년’(2006, 전남대학교출판부)과 ‘광주 교육시설 100년’(2002, 다지리) 등 책자의 지적재산권을 광주문화재단에 기증키로 했으며, 기증식은 ‘호남학 콜로키움’이 진행되는 날 이뤄질 예정이다.
호남학 콜로키움은 전화를 통해 사전접수해야 하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선착순 20명만 신청이 가능하다.
한편, 광주문화재단과 한국학호남진흥원은 이번 ‘호남학 콜로키움’을 시작으로 향후 광주의 근현대 문화사를 주제로한 광주학 콜로키움과 호남의 전근대 자원을 토대로 한 호남학 콜로키움을 연계할 계획이다. 우선, 이달 28일과 11월29일 두 차례에 걸쳐 호남학콜로키움의 방향성과 광주학콜로키움과의 공동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장을 연데 이어 2022년도부터는 광주 근대 이전과 이후의 문화사를 비슷한 주제로 엮어내어 이 지역의 과거와 현재를 함께 고찰하고 나아가 미래를 준비하는 시민강좌를 지속할 계획이다